본문 바로가기

김선생의 정보 공간

설날 세배하는 방법, 세배할 때 남녀 손 위치

반응형

까치 까치 설날이 다가왔습니다.

어른을 찾아 뵙고 세배를 해야하는데 

할 때마다 헷갈리는 게

세배인 것 같습니다.

 

남녀별 세배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세배의 뜻 및 유래

 

세배는 새해를 맞아 손아랫사람이

손윗분들에게

인사를 드리는 풍습을 말합니다.

 

설날의 차례가 끝나면 집안의 어른들께

웃어른부터 순서대로 절을 하고

새해 첫 인사를 드립니다.

 

예전 농가에서는 차례를 지내고 난 뒤

집안의 어른들에게 먼저 세배하고

일가친척들에게는 성묘를 한 후에

세배를 했습니다.

 

그리고 마을 어른들에게 세배를 했습니다.

세배를 하면서 손아랫사람이 어른들에게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하고

 

어른들은 손아랫사람들에게

"새해는 소원성취하게." 하는 등

처지와 환경에 알맞은 말을 했으며

이것을 덕담이라고 합니다.

 

 

 

 

 

2. 남자 절하는 방법 및 순서 

 

1) 남자는 왼손을 오른손 위로 놓고

엎드리며  바닥을 짚습니다.


2)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가지런히 꿇습니다.


3)  왼발을 아래로 두고

오른쪽 발등을 위로 포개어 앉습니다.


4) 이마가 손등에 닿을 정도로

머리를 숙인 뒤 잠시 머무릅니다.


5) 고개를 들고 팔꿈치를 바닥에서 떼고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웁니다.


6)  일어나 두발을 모으고

바른 자세로 섰다가 다시 앉습니다.
 

 


3. 여자 세배하는 방법 및 순서 

 

1)  오른손을 왼쪽손 위로 놓고 수평이 되게 손을 유지합니다.


2) 이마를 손등에 댑니다.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 무릎을 가지런히 꿇습니다.


4) 무릎을 세우지 않고

왼발을 오른발 위로 포개어 앉습니다.


5) 상체를 60도 정도 굽힌 뒤

몸을 일으킵니다.


6) 두발을 모으고  올렸던 손을 내리며

바른 자세로 섰다가 다시 앉습니다.

 

 

 

 

4. 세뱃 돈의 의미와 유래

 

설날 차례를 마친 뒤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세배를 올리면

세배를 받은 사람이

세뱃값으로 주는 돈을

세뱃돈이라고 합니다.

 

세배는 어른이 무사히 겨울을 넘기고 

새해를 맞은 것을 기념해

문안드리는 것에서 비롯됐는데

 

이때 인사를 찾아온 이들에게

차례음식 등을 건네며

덕담을 주고 받은 것이 

 

현재 세뱃돈의 기원이라고 전해집니다.

 

 

 

 

 

 

올해 설 연휴 안전하고 평안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